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Life

[제주 서귀포시] 시원한 물소리 들리는 정방폭포 그리고 전복 한접시 정방폭포(正房瀑布)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홍동) 중심가에서 1.5km 동남쪽에 있는 동양 최대의 폭포이다. 2008년 8월 8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43호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로 지정되었다. 여름에 보면 물이 흩날려 더욱 멋지다 하여 제주도에서 경관이 빼어난 명소 10곳을 의미하는 영주10경 중 하나이기도 하다(정방하폭). 높이는 23m, 너비는 10m이다. ​ 한라산 남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내리는 애이리내의 남쪽 하단에 발달한 폭포이다. 폭포수가 바다로 떨어지는 동양 유일의 해안 폭포로, 세계적으로도 자메이카의 던리버폭포 정도만이 잘 알려져 있는 희귀한 형태의 폭포이다. 주상절리가 잘 발달한 해안 절벽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20여 미터의 물줄기가 남쪽 바다의 푸르른 해안과 어우.. 더보기
[제주 서귀포시] 아기자기 절경 백두산을 닮은 - 소천지 이곳은 보목 해안가에 있는 관광지로 마치 백두산 천지의 모습을 축소해 놓은 모습을 닮았다고 하여 소천지라 불린다. 소천지는 지도상에 검색해도 찾기 힘들고 뚜렷한 표지판도 없어 아는 사람만 아는 잘 알려지지 않은 숨겨진 명소였지만 제주 올레길을 점점 많은 이들이 찾으면서 제주올레 6코스에 포함되어있는 소천지도 자연스럽게 유명해졌다. 이곳엔 1급수에서만 산다는 생물들도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로 물이 맑고 화산활동과 같은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겨져있어 학술적 연구 가치가 있는 곳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출처: visitjeju.net ​ 길을 따라 오분정도 내려가면 바닷가에 소천지가 나타납니다. 백두산 천지를 가본 적은 없지만 왠지 소천지를 닮았을 것 같습니다. 스펙타클한 감탄 나오는 풍경은 아니지만 아기자기.. 더보기
[제주 서귀포시] 제주 토속 음식 맛볼 수 있는 가시리 명문 식당 명문 가시리 식당 제주 토속 음식인 몸국, 보말국, 고기국수등을 맛볼 수 있는 동네 맛집이라고 하여 찾았습니다. ​ "가시리"는 지명입니다. 가시리의 "명문 식당"인 셈입니다. ​ 보말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삶은 고둥을 주물러 우려낸 국물에 미역을 넣어 끓인 국. 보말은 제주도 사투리로 고둥을 말한다. 서귀포 바다의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20m까지의 바위나 돌덩어리에 흔한 것이 바다 고둥이다. 썰물 때 수시로 바닷가에 나아가 보말을 잡아 여러 조리과정을 거쳐 서귀포 지역 특유의 음식을 만들어왔다. [네이버 지식백과] 보말국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고동이 들어간 미역국이라고 보면 됩니다. 간이 슴슴하여 간장에 참기름이 들어간 미역국에 익숙한 분들은 안 맞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고기국수.. 더보기
[제주 서귀포시] 자연이 빚은 놀라운 공간 - 용머리 해안 2011년 1월 13일 천연기념물 제526호로 지정되었다. 산방산 해안에 있으며,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용의 머리를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겉으로 보면 평범하지만 좁은 통로를 따라 바닷가로 내려가면 오랫동안 층층이 쌓인 사암층 암벽이 나온다. 180만 년 전 수중폭발이 형성한 화산력 응회암층으로 길이 600m, 높이 20m의 현무암력에 수평층리·풍화혈·돌개구멍·해식동굴·수직절리단애·소단층명 등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해안 오른쪽에는 반원형으로 부드러운 검은모래사장[黑沙場]이 펼쳐져 있다. ​ 전설에 따르면, 제주도에서 장차 왕이 태어날 것을 안 중국 진(秦)의 시황제가 호종단을 보내 제주도의 혈을 끊으라 했다. 호종단은 이곳에서 왕후지지(王后之地)의 혈맥을 찾아내 용의 꼬리와 잔등 부분을 칼로 내.. 더보기
[제주 서귀포시] 멕시칸 맛집, 듀크서프 비스트로 듀크서프 비스트로 ​ 멕시칸 요리 전문입니다. 서핑을 모티브로 인테리어를 하였습니다. 나쵸, 새우타코 모두 맛있었지만, "흑돼지 토스타다"가 가장 맛있었습니다. (사진을 못 남겨서 매우 아쉽습니다.) ​ 2022년 5월 방문 더보기
[제주 서귀포시] 인공물이 아니라는 사실이 놀라운 대포 주상절리 주상절리는 일반적으로 치밀한 흑회색이나 암회색의 현무암이나 조면암질 용암이 화산 분출 후 용암 표면의 균등한 수축으로 인해 생긴 수직방향의 돌기둥을 말한다. 이런 현상은 가뭄에 논바닥이 갈라지는 현상과 유사하며, 주상절리와 논바닥이 갈라진 모양을 비교해 보면 서로 비슷함을 알 수 있다. 화산이 폭발하거나 분화구에서 마그마를 분출하면 지표에 나온 용암은 지표의 낮은 곳을 따라서 흐르게 된다. 마그마는 약 1,200℃ 정도로 높은 온도이며, 지표의 온도와 비교하면 매우 뜨겁다. 용암이 갑자기 지표에 흐르게 되면 양이 많으면 두껍게, 양이 적으면 얇게 흐르고, 얇은 것은 두꺼운 곳 보다 더 빨리 식을 것이다. 따라서 얇고 빨리 식은 것은 규모가 작고, 두껍고 비교적 서서히 식은 것은 규모가 크게 된다. ​ 대.. 더보기
[건강] 자전거 경로/속도 기록앱, 오픈 라이더 자전거 경로 기록앱 소개입니다. 이전에 소개드린 앱과 다르게 자전거 전용입니다. 자전거 타는 동안에 많은 정보가 표시되는 앱이어서 자전거에 핸드폰 거치대가 있다면 굉장히 유용합니다. 다른 앱들과 마찬가지로 지도 표시는 기본이고, 속도, 고도, 칼로리소모, 운행시간등이 같이 표시되어 편리합니다. 가운데 정보모드와 오른쪽 지도모드중에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 주행후에 저장하게 되면, 주행시간, 거리, 속도등의 통계가 표시됩니다. ​ 또한 운행 시간동안의 고도변화, 평균속도 변화등의 통계자료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 저는 자전거 운동중에는 오픈라이더와 릴리브를 사용하고, 자동차 이동이나 도보여행등의 기록에는 릴리브와 램블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더보기
[건강] 자전거 및 여행 경로 기록앱, 램블러 Rambler 등산경로 기록 앱으로 제작되었지만, 자전거, 여행 경로등에도 적절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램블러 Rambler ​ ​ 앱에 들어가면 바로 현재 지도가 나옵니다. 빨간색 녹화 버튼을 누르면 바로 경로가 기록되기 시작합니다. 위에 버튼을 통해 여행중 사진, 영상등을 기록할 수 있으며, 가장 오른쪽처럼 기록 시작후 소요 시간과 거리를 볼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일시중지 버튼을 오른쪽으로 밀어서 기록을 잠시 중단하거나, 완전히 여행을 마치고 기록을 저장하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 일시정지 버튼을 누르면 두가지 버튼이 나옵니다. 왼쪽 빨간 버튼을 누르면 다시 기록이 시작되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기록을 넘추고 저장이 시작됩니다. "올리기" 는 바로 저장 시작 "편집후 올리기"는 상세 내용등에서 기록수정등.. 더보기

728x90
반응형